반응형 전체 글43 입 모양에 의한 관상을 살펴보자! 큰 입 야심에 불타고 욕망이 강하고 자신가라는 걸 나타낸다. 또 그 크기에 비례해서 마음인 도량 크기를 나타내고 또 동물적인 본능의 강함을 나타낸다. 남자는 큰 입이 양상(良相)이고 다른 조건이 좋다면 길상(吉相)이며 입신출세의 상이라고 본다. 여성인 경우는 남성적으로 흐르기 쉽고 행동적이라 남성의 종속적 입장에 만족 않는다. 그 때문에 자칫 불화, 말다툼을 하기 쉽고 과부상이라고도 한다. 특히 입매에 탄력이 없고 두터운 느낌의 입은 색욕에 빠지기 쉽고 정조관념이 박약하다고 본다. 크고 엷은 것은 큰 일을 하더라도 정애가 없기 때문에 인간관계의 원활성이 없고 쉽게 트러블의 씨를 뿌리겠지요. 아무튼 큰 입은 그 사람의 동물적인 의 행동력, 본능의 강한 점 등을 나타내는 걸로써 길이라면 큰 일을 이룩하고 성.. 관상학 2022. 9. 19. [고사성어] 경국지색(傾國之色)과 계구우후(鷄口牛後)을 살펴보자! 경국지색(傾國之色) 경국(傾國)이란 원래〈나라를 위태롭게 한다〉는 뜻으로, 사기(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있다. 즉 한왕(漢王) 유방(劉邦ㅡ뒤의 한고조〉과 초(楚) 나라의 패왕(覇王) 항우(項羽)가 천하를 다투고 있었을 때, 어느 때 유방의 부모와 처자가 항우의 포로가 된 적이 있었는데, 후공(侯公)이라는 말 잘하는 선비가 항우를 설득하여 화의를 성립시켜, 그 부모와 처자를 유방에게로 돌아오게 했다. 그러나 정국(傾國)이 미인(美人)을 일컫는 말로 쓰이게 된 것은 이연년(李延年)의 시에서 유래한다. 이연년(李延年)은 한무제(漢武帝—B.C. 141~87) 때의 협률도위(協律都尉- -음악을 맡은 관리)로, 그에게는 누이동생이 있었는데, 그야말로 절세미인(絶世美人)이었다. 한무제는 이때 이미 고개를 넘고.. 고사성어 2022. 9. 16. [고사성어] 결초보은(結草報恩)을 알아보자! 결초보은(結草報恩)의 기원은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진(晋) 나라 위무자(魏武子)의 첩의 부모가 위무자의 아들과(顆)에게 은혜를 갚은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진(秦) 나라의 환공(桓公)은 진(晋) 나라를 공격하여, 보씨(輔氏)라는 곳에 군대를 머물게 했다. 이때 진왕(晋王)은 직(稷)이라는 곳에서 군대를 총동원하여 오랑캐의 땅을 침략하여, 여왕(黎王)을 사로잡아 앞세우고 돌아왔다. 그런데 낙수(洛水)까지 오자, 위과가 진(秦) 나라의 군대에게 보씨(氏)에서 패하여, 두회(杜回)를 적군에게 사로잡히게 했던 것이다. 이보다 앞서 위무자(魏武子)에게는 사랑하는 첩이 있었는데 그녀에게는 아들이 없었다. 위무자는 병이 위독했다. 그래서 그는 본처의 아들인 과(顆)에게 명령하여 말했다. “나의 사랑하는 첩을 반드.. 고사성어 2022. 9. 16. 입술에 관한 관상 서론: 입은 생존력을 나타낸다. 입술은 얼굴 가운데서도 가장 본능적인 기관이며 동시에 정신적인 기관이다. 입술은 인간의 2대 본능인 식욕과 성욕을 상징하고 있는 부분이다. 특히 식욕의 기관으로서 미각(味覺)과 촉각(觸覺)의 두 감각을 아울러 갖추고 있으며, 이 기능이 있기 때문에 생명이 유지된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아무리 하등 동물이라도 신체를 먹여 살리는 입의 기능 없이는 살지 못한다. 그런 만큼 입은 생활력의 강약을 상징하고 있게 된다. 일례로 유독 커다란 입은 섭취 욕이나 양 따위를 나타낸다. 다음에 입은 그 사람의 이지적인 면 이상으로 정적(情的)인 면과 의지의 면 따위를 강하게 표시한다. 즉 애정의 강약, 후박(厚薄)、의지의 강약, 적극성, 소극성 등을 나타낸다. 윗입술은 적극성을 나타내고 부성(父性)을 나타내며, 아랫입술은.. 관상학 2022. 9. 14. 코 모양에 의한 관상을 알아보자! 1. 코는 인격을 나타낸다 코는 안면의 중앙에 있어 융기(隆起)하고 있으며, 안면의 약 3분의 1일 가졌거니와 인간성의 상징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그 우열은 인격을 표시하는 것이다. 즉 후각 기관(嗅覺器官)인 코는 뇌의 중추신경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코의 발달과 비례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코의 높고 낮음, 모양은 외적인 자극 따위에 의해 성립된 것이 아니고 그 사람의 인격, 감각이나 육체의 내부적인 조건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그런데 코는 재력, 의지력, 정의감, 신체의 각 부를 보는데, 다음에 코에 의한 판단의 포인트를 들어보겠다. 코는 자기의 인격이라고 본다. 자존심이라고 본다. 중년의 운수를 본다. 현재의 운수를 본다. 공격 정신의 유무를 본다. 수비력도 본다. 준두(準頭|코끝)는 성기.. 관상학 2022. 9. 13. 눈과 눈썹에 의한 길흉과 핏발에 의한 관상 1. 눈과 눈썹에 의한 길흉 1) 남자는 활(活眼)이라고 해서 눈에 생기가 있는 걸 양상(良相)이라고 한다. 2) 여자는 자안(慈眼)이라고 해서 화기가 넘쳐있는 걸 양상이라고 한다. 3) 언제나 눈물로 젖어있는 듯한 눈은 음탕한 상으로 매사에 느슨하고 맺고 끊는 맛이 없다. 4) 남과 이야기할 때 깜박이는 건 비밀이 있거나 거짓말이 있던 몸이 피로해 있음을 나타낸다. 5) 남을 정시 못하는 눈은 소심하고 약한 마음을 나타내던가 나쁜 일을 꾸미고 있는 상. 6) 남과 이야기하면서 눈길을 돌리는 건 무얼 생각하고 있거나 기분이 안정되지 않거나 또는 상대를 비웃고 있거나 성의가 없을 때이다. 7) 눈알을 좌우로 움직이는 건 경계심이 강하던가 마음이 동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8) 대좌하고 있으면서 위만 쳐다보.. 관상학 2022. 9. 3. 눈의 모양, 눈빛과 대소에 의한 관상을 알아보자! 1. 눈 모양에 의한 관상 눈의 모양이라고 해도 크게 나누면 크고 작음, 불거진 눈, 쑥 들어간 눈 등 여러 가지가 있다. 1) 중안(重眼) - 작은 눈 이 눈은 산골 사람에 많은 눈으로서 자못 시골티가 나는 눈이다. 이 눈은 의지가 굳고 굳세며 간난(難難)에도 잘 버티어내는 참을성이 있다. 사고방식도 보수적이며 좁고 잘 따지는 성격이다. 게다가 집념이 강하고 이기적이긴 하나 단결심이 있다. 반면 시기심이 세고 격하기 쉬우며 식기 어려운 점이 있다. 만사 수수하기 때문에 변화를 즐기지 않고 기민성이 결여돼 있다. 의사표시도 능숙하지 못하므로 사교나 연애도 서투르고 뜻대로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능 관계, 물장수, 장사에는 적당치 않으며 기술자 또는 수수한 행동력이 요구되는 노동적인 일에 알맞다. 2) .. 관상학 2022. 9. 1. 눈에 의한 관상: 눈은 마음을 비쳐준다. "눈은 마음의 창문"이라고, 옛날부터 눈을 보면 그 사람의 마음 움직임이나 마음먹은 걸 안다고 일컬어져 왔다. 눈은 참으로 그러하며, 심성(心性)의 비추(美醜)를, 희로애락(喜怒哀樂), 선악정사(善惡正邪)를, 빈부귀천(貧富貴賤)을, 절조음난(節操淫亂)등 온갖 인간의 마음 상태를 표시한다. 눈인 마음의 창문 "눈짓으로 말을 대신한다", "말에 거짓은 있어도 눈에는 거짓 없다"하듯, 눈을 보면 말을 나누지 않더라도 상대의 의사나 욕망을 알 수 있고 그 사람의 운기 성쇠도 볼 수가 있는 것이다. 눈이 맑다던가 흐리던가 하는데, 이 맑고 흐린 것만 갖고서도 여러 가지 의미를 찾아낼 수가 있다. 눈이 맑으면 마음 또한 맑으며 흐려 있으면 심성이 나쁘던가 신체가 나쁘던가이다. 즉「階」이 흐리면 마음도 흐리고 흰자의.. 관상학 2022. 8. 30. 눈썹에 의한 관상: 5운, 움직임과 간격, 직업 눈썹에 의한 오운(五運)의 관상 눈썹의 우, 좌에는 저마다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1) 우미(右眉): 공사(公事), 남, 부, 형, 제(弟) 2) 좌미(左眉): 사사(私事), 여, 모, 자(妹), 매(姉) 또 눈썹에는 그림처럼 다섯 가지 운이 표시된다. 즉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①운(運): 감정, 태어났을 때의 운을 나타 냄 ②명(命): 생명의 길이 즉 수명을 나타냄 ③복(福): 재운을 나타냄 ④권(拳): 집안, 친척 등과의 관계를 나타 냄 ⑤주(住): 주거에 관한 불운을 나타냄 눈썹의 오운(五運)이 저마다 아름답고 모양이 갖추어져 있을 경우는 길상(吉相)이지만, 만일 상처나 상처 자국, 점 등이 있을 경우에는 그 부분의 운이 나쁜 걸 나타낸다. 이를테면「복」 부분에 상처, 점 따위가 있으.. 관상학 2022. 8. 25. [고사성어] 가렴주구, 가정맹어호야, 격물치기 외 가롱성진(假弄成眞) “장난이 아이가 된다”와 같은 뜻, 거짓된 것을 참된 것처럼 보이는 것. 가렴주구(苛斂誅求) 조세를 가혹하게 징수함.※ 가렴(加斂)…규정 이외에 불법(不法)의 세목에 의하여 국민으로부터 징수하는 것. 가봉녀(加捧女) 전부(前夫)의 아들을 거느린 재가녀(再嫁女)를 말함. 가인박명(佳人薄命) 중국 송대(宋代)의 시인 동파(東坡) 소식(蘇軾)의 시제(詩題)로 '옛부터 미인은 운명이 박함'이 많다고 했다. 소식(蘇軾·1036~1101)은 북송(北宋) 후기의 대문장가요 학자이기도 했다. 이 시는 1086 년부터 8년 사이에 지은 것이다. 가인박명(佳人薄命)은 어린 승려를 노래한 칠언율시(七言律詩)로 되어 있다. 〈두 볼은 엉긴 우유와 같고 머리는 옻칠을 한 것처럼 새까맣고, 눈빛이 밭에 들어오.. 고사성어 2022. 8. 22. 눈썹에 의한 관상을 알아보자! 눈썹에 의한 관상 눈썹의 상은 모양 뿐만 아니라 터럭의 윤(潤)을 보는 것도 중요하다. 기름기가 너무 많아 번들번들하게 반짝이고 있는 건 가정에 근심이 있다던가 아내가 부정을 저지르는 걸 의미하며、또 병이 걸릴 증조라고 본다. 또 윤이 있어 검고 축축하니 젖어 있는 듯한 건 색난(色難)의 상으로、여성은 특히주의가 필요하다. 연소자는 눈썹에 윤이 생기던가 검웃검웃한 건 춘정(春情)이 발동한 증후라고 본다. 1. 눈썹 터럭이 빳빳하고 꺾기던가 빠지는 건 대단의 전조 2. 터럭이 풍성한 건 운기가 세고, 눈을 가릴만한 건 융통이 적으며 응용의 재치가 없다. 또 터럭이 굳은 사람은 운이 열리는 게 늦고 만성형(晩成型)이다. 3. 눈썹머리의 터럭이 두 세 가닥 서있는 것은 감정가로 볼 수 있다. 밤송이처럼 서 있.. 관상학 2022. 8. 22. 눈썹 모양에 의한 관상을 알아보자. 눈썹은 다른 동물에도 있지만, 인간은 특히 두드러진 것이고 인간성의 한 상징이라고 해도 좋으리라. 그 나타내는 의미는 아름다운 느낌, 취미, 문학, 포부, 신뢰, 사람으로서 당연히 지켜야 할 도덕성, 예를 지켜 사양함 등으로, 이런 것을 가장 명백하게 나타낸다. 눈썹은 인간성을 나타낸다. 눈썹은 다소 전기성(電氣性)을 띠고 있어 정신상태, 활력의 강약 등에 의해 색채와 그 모양에 변화가 생긴다. 눈썹은 형제궁(兄弟宮), 보수궁(保壽宮), 문장궁(文章宮)등 다른 호칭이 있는데, 그중의 이름이 보여주듯 눈썹에는 그런 의미가 표현되는 것이다. ① 형제궁: 형제, 자매, 친척, 일족, 친구관계가 좋은 상 ② 보수궁: 수명, 건강의 좋고 나쁨을 표시하고 눈썹이 긴 것은 장수한 사람에게 많은 것 같다. ③ 문장궁:.. 관상학 2022. 8. 20.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