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학

눈에 의한 관상: 눈은 마음을 비쳐준다.

페르소나21 2022. 8. 30.

"눈은 마음의 창문"이라고, 옛날부터 눈을 보면 그 사람의 마음 움직임이나 마음먹은 걸 안다고 일컬어져 왔다. 눈은 참으로 그러하며, 심성(心性)의 비추(美醜)를, 희로애락(喜怒哀樂), 선악정사(善惡正邪)를, 빈부귀천(貧富貴賤)을, 절조음난(節操淫亂)등 온갖 인간의 마음 상태를 표시한다.

눈인 마음의 창문

눈동자 부위별 명칭 설명
눈의 부위별 명칭

"눈짓으로 말을 대신한다", "말에 거짓은 있어도 눈에는 거짓 없다"하듯, 눈을 보면 말을 나누지 않더라도 상대의 의사나 욕망을 알 수 있고 그 사람의 운기 성쇠도 볼 수가 있는 것이다.
눈이 맑다던가 흐리던가 하는데, 이 맑고 흐린 것만 갖고서도 여러 가지 의미를 찾아낼 수가 있다.
눈이 맑으면 마음 또한 맑으며 흐려 있으면 심성이 나쁘던가 신체가 나쁘던가이다. 즉「階」이 흐리면 마음도 흐리고 흰자의 흐림은 신체의 고장을 표시한다.

눈의 세 가지 타입

눈에도 십인십색(十人十色)모두 저마다 다르지만, 그 형질(形質)을 나누면 영양질, 근골질, 심성질의 셋이 된다. 이 세 가지는 각각 다음과 같은 특질을 갖고 있다.
①영양질
‘이것은 눈꺼풀에 살이 두툼하고, 둥글고, 크고, 검은 눈동자가 큰 것 모두 포함된다.
②근골질
이것은 긴 눈, 또 흰자가 많은 눈으로써 투지적, 의욕적인 느낌이 드는 눈의 일체를 포함한다.
③심성질
아름답고 청결감이 있는 시원한 느낌이 들고, 길쭉하고 꼬리가 치켜 올라간 눈으로서 정력적인 느낌이 들지 않는다.

눈 모양에 의한 관상

눈의 모양이라고 해도 크게 나누면 크고 작음, 불거진 눈, 쑥 들어간 눈 등 여러 가지가 있다.

1. 중안(重眼) - 작은 눈

이 눈은 산골 사람에 많은 눈으로서 자못 시골티가 나는 눈이다. 이 눈은 의지가 굳고 굳세며 간난(艱難)에도 잘 버티어내는 참을성이 있다. 사고방식도 보수적이며 좁고 잘 따지는 성격이다. 게다가 집념이 강하고 이기적이긴 하나 단결심이 있다. 반면 시기심이 세고 격하기 쉬우며 식기 어려운 점이 있다. 만사 수수하기 때문에 변화를 즐기지 않고 기민성이 결여돼 있다. 의사표시도 능숙지 못하므로 사교나 연애도 서투르고 뜻대로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능 관계, 물장수, 장사에는 적당치 않으며 기술가 또는 수수한 행동력이 요구되는 노동적인 일에 알맞다.

2. 경안(輕眼) - 큰 눈

도시나 해안지방에 많이 볼 수 있는 눈이다. 두뇌 명석하고 게다가 정열적이며 희로애락을 곧 나타낸다. 그러나 격하게 쉽고 식기 쉬운 경향이 있고 지식도 넓으며 경솔하게 흐르기 쉬운 것이 결점이다. 또 호언장담을 하던 반면 신용을 하여 속기 쉬운 면도 있다. 혹은 또 박애주의적이고 대담하며 너그러운 면도 있다. 예능 관계나 서비스업이 알맞은 직업이다.

3. 움푹한 눈

동양인에는 적은 타이프이고 서양 사람 같은 인상을 준다.
이 눈은 사물에 대한 깊은 관찰력을 나타내고 이성적으로는 우수한 능력을 갖고 있지만, 애정에는 냉정하고 우월성을 갖고 있다. 또 조심스럽고 끈기가 있고 의사표시가 서투르기 때문에, 외교, 손님 등 대하는 직업보다 견실한 직업에 종사하면 성공한다. 여성은 만혼형(晩婚型)이라 자업(自業)을 갖는 게 좋다. 또 유머어가 적어 인간관계가 원활하지 않다.

4. 불거진 눈

이 눈은 격하기 쉽고 식기 쉬운 성격이다. 남녀 모두 조숙한 기질, 체질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자칫 이성문제의 실패가 많고 초혼에 깨지기 쉬운 경향. 불거진 눈이라도 눈꺼풀 살이 두툼한 것과 엷은 것이 있는데, 두툼한 건 정력적이고 대담한 것이 노력가이고 생활 의욕이 왕성한 활동가로서 장년 시대부터 두각을 나타낸다.
여성은 대개 남자운이 나쁘고 책임이 무거운 입장에 놓여 비운이 되기 쉬운 운수이다. 성격은 고집이 세고 웬만한 일에는 끄떡없지만 그런 만큼 인간관계의 원활히 결핍되는 점이 있다.
다음은 불거진 눈으로서 살이 엷고 툭 튀어나온 것인데, 이 눈은 남녀 모두 조숙이라 자칫 색난(色難)을 받기 쉬운 점이 있다. 그러나 꽤 사고력이 발달돼 있어 감식안(鑑識眼)이 있고 빈틈이 없다. 그러나 마음이 약한 데가 있고 매사에 중간 좌절이 적지 않다. 아랫 눈까풀 일대가 도톰하게 솟아있는 건 언어성(言語性)의 발달, 재능의 풍부함을 나타내고 능변임을 표시한다.

5. 보통 눈꺼풀

마찬가지로 매사를 깊이 생각하고 시기심이 강하고 겁쟁이 안과인 데가 있다. 일면으로 고집쟁이고 끈기가 있고 명랑이 부족하여 어둔 면이 있으며, 비관적인 생각이 강한 경향이 있다.

6. 쌍꺼풀

경안과 마찬가지로 사치스럽고 멋쟁이인 면이 있고, 여성이라면 깊은 생각 없이 유행을 뒤쫓고 표면에만 사로잡히고 내면 깊이 통찰(洞察)하려는 점이 부족하다. 또 일시의 감정에 의해 안이한 행동을 하는 일이 많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