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3 [고사성어] 경국지색(傾國之色)과 계구우후(鷄口牛後)을 살펴보자! 경국지색(傾國之色) 경국(傾國)이란 원래〈나라를 위태롭게 한다〉는 뜻으로, 사기(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있다. 즉 한왕(漢王) 유방(劉邦ㅡ뒤의 한고조〉과 초(楚) 나라의 패왕(覇王) 항우(項羽)가 천하를 다투고 있었을 때, 어느 때 유방의 부모와 처자가 항우의 포로가 된 적이 있었는데, 후공(侯公)이라는 말 잘하는 선비가 항우를 설득하여 화의를 성립시켜, 그 부모와 처자를 유방에게로 돌아오게 했다. 그러나 정국(傾國)이 미인(美人)을 일컫는 말로 쓰이게 된 것은 이연년(李延年)의 시에서 유래한다. 이연년(李延年)은 한무제(漢武帝—B.C. 141~87) 때의 협률도위(協律都尉- -음악을 맡은 관리)로, 그에게는 누이동생이 있었는데, 그야말로 절세미인(絶世美人)이었다. 한무제는 이때 이미 고개를 넘고.. 고사성어 2022. 9. 16. [고사성어] 결초보은(結草報恩)을 알아보자! 결초보은(結草報恩)의 기원은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진(晋) 나라 위무자(魏武子)의 첩의 부모가 위무자의 아들과(顆)에게 은혜를 갚은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진(秦) 나라의 환공(桓公)은 진(晋) 나라를 공격하여, 보씨(輔氏)라는 곳에 군대를 머물게 했다. 이때 진왕(晋王)은 직(稷)이라는 곳에서 군대를 총동원하여 오랑캐의 땅을 침략하여, 여왕(黎王)을 사로잡아 앞세우고 돌아왔다. 그런데 낙수(洛水)까지 오자, 위과가 진(秦) 나라의 군대에게 보씨(氏)에서 패하여, 두회(杜回)를 적군에게 사로잡히게 했던 것이다. 이보다 앞서 위무자(魏武子)에게는 사랑하는 첩이 있었는데 그녀에게는 아들이 없었다. 위무자는 병이 위독했다. 그래서 그는 본처의 아들인 과(顆)에게 명령하여 말했다. “나의 사랑하는 첩을 반드.. 고사성어 2022. 9. 16. [고사성어] 가렴주구, 가정맹어호야, 격물치기 외 가롱성진(假弄成眞) “장난이 아이가 된다”와 같은 뜻, 거짓된 것을 참된 것처럼 보이는 것. 가렴주구(苛斂誅求) 조세를 가혹하게 징수함.※ 가렴(加斂)…규정 이외에 불법(不法)의 세목에 의하여 국민으로부터 징수하는 것. 가봉녀(加捧女) 전부(前夫)의 아들을 거느린 재가녀(再嫁女)를 말함. 가인박명(佳人薄命) 중국 송대(宋代)의 시인 동파(東坡) 소식(蘇軾)의 시제(詩題)로 '옛부터 미인은 운명이 박함'이 많다고 했다. 소식(蘇軾·1036~1101)은 북송(北宋) 후기의 대문장가요 학자이기도 했다. 이 시는 1086 년부터 8년 사이에 지은 것이다. 가인박명(佳人薄命)은 어린 승려를 노래한 칠언율시(七言律詩)로 되어 있다. 〈두 볼은 엉긴 우유와 같고 머리는 옻칠을 한 것처럼 새까맣고, 눈빛이 밭에 들어오.. 고사성어 2022. 8. 22. 이전 1 다음